가와사키 프론탈레

가와사키 프론탈레
로고
전체 명칭川崎フロンターレ
별칭フロンターレ、イルカ
리그J1리그
창단1955년
소유후지쯔
회장요시다 아키히로(吉田 明宏)
감독하세베 시게토시
경기장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수용 인원26,827명
시즌 순위8위(2024)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원정

가와사키 프론탈레(일본어: 川崎フロンターレ 가와사키 후론타레[*], Kawasaki Frontale)는 일본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를 연고로 하는 J리그 축구 팀이다. 현재 대한민국 축구 골키퍼 정성룡의 소속팀이다.

개요

홈 경기장은 나카하라구의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팀명 '프론탈레'는 정면이라는 뜻의 이탈리아어로 최전선에서 계속 도전하는 개척 정신을 담아, 정면에서 정정당당하게 싸우는 팀의 자세를 표현하고 있다.

엠블럼은 가와사키시의 꽃인 진달래, 팀 마스코트인 돌고래, 팀 컬러를 토대로 세계를 향해 열려있는 활력과, 바다를 가까이 접한 매력적인 가와사키를 상징화했다. 팀 컬러는 블루, 블랙, 화이트로 1997년 3월 26일 이래 상호협력하고 있던 브라질의 축구 클럽 그레미우에게서 끌어왔다.[1]

클럽 마스코트로는 빠른 돌고래를 형상화한 '프론타'와 '카브레라', '와룬타'가 있다. 이 중 '프론타'라는 이름은 공모를 통해 선정되었으며, 등에 등번호 12번을 달고 있다. 등번호 12번은 서포터를 상징하는 번호로 영구 결번이며, 이는 프론타가 단순한 마스코트가 아니라 서포터의 일원으로 활동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역사

구단 창단과 초창기 (1955-1997)

1955년에 후지쯔 축구부로 창단되었다. 1972년에 일본 사커 리그(JSL) 2부로 승격하였으며, 요미우리 FC, 도시바 SC와 같이 경쟁하였다. 1977년 JSL 1부 리그로 승격하였으나, 1979년 강등되었다. 1992년 부터는 재팬 풋볼 리그(JFL)에 참가했다. 1997년에 프로팀이 되며, 명칭이 공모에 의해 지금의 '가와사키 프론탈레'로 결정되었다.

승격과 도전 (1998-2016)

1998년 베투 감독이 취임하고, 가시마 앤틀러스로 부터 오니키 도루가 가세해 브라질 출신의 공격수들이 활약했다. JFL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J1리그 참가결정전에 진출했지만, 아비스파 후쿠오카와의 경기에서 2-2로 맞선 연장전 끝에 골든골을 허용하며 2-3으로 패배, 승격이 무산되었다.

1999년에 출범한 J2리그에서 리그 초대 우승을 차지하고 J1으로 승격했지만, 성적 부진으로 통합순위 16위(전기리그 15위, 후기리그 15위)의 성적을 받아 2000년에 다시 J2로 강등되었으며 해당 구단이 1997년 프로팀으로 전향하는 한편 1999년 J1 승격 과정에서 J리그 연맹에서는 가와사키시에서 두개 구단이 관중 확보를 위한 출혈 경쟁이 예상된다는 등의 의견을 내렸고 이 과정에서 베르디 가와사키가 뒷날 도쿄로 연고 이전을[2] 하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한국 프로야구에서는 롯데 자이언츠가 버티고 있는 부산에 제2구단 창단설이 있었으나[3] 2개 이상 구단이 같은 연고지를 사용할 경우 먼저 연고지를 사용하고 있는 구단의 허락이 있어야 한다는 KBO 규약 탓인지[4] 무산됐다.

가와사키는 2001년부터 2003년까지 J2에서 활동하였고, 2004년 J2리그에서 승점 105점을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해 J1에 복귀하게 되었다.

2006년 J1 준우승을 차지해 AFC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 2007년도에는 야마자키 나비스코컵 준우승 및 AFC 챔피언스리그 8강의 성적을 기록하게 된다. 2008년2009년엔 2년 연속 J리그 준우승을 차지했으나, 2011년 11위를 기록하여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2013년에는 리그 3위를 기록하며, 상위권 복귀와 동시에 AFC 챔피언스리그 티켓을 거머쥐었다. 이후 14시즌15시즌에는 6위를 기록하였으나, 2016 시즌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의 뒤를 이어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오니키 도루 감독 체제 (2017-2024)

2017 시즌

팀 슬로건 'Paint it Blue - J를! 세계를! 물들여라!!'를 내걸고 시즌을 시작했다. 오니키 도루 감독이 새롭게 부임했으며, 주요 선수들이 이적과 임대를 통해 팀을 떠났다. 반면, 오미야에서 이에나가 아키히로, 오사카에서 아베 히로유키, 니가타에서 마이클 피츠제럴드를 영입하며 전력을 보강했다.

가와사키는 시즌 내내 한 번도 연패 없이 안정적인 경기력을 유지했다. 19라운드 이후 15경기 무패 행진을 기록했고, 최종전에서 오미야를 상대로 5-0 대승을 거두며, 창단 21년 만에 첫 J1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1999년 J2 출범 이후 처음으로 J1 우승을 차지한 사례였다. 또한, 리그 사상 최초로 승점이 아닌 득실차로 우승이 결정되었으며, 시즌 4패로 최소 패배 우승 타이 기록을 세웠다.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는 조별리그를 1위로 통과했으나, 8강에서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게 1차전 3-1 승리 후 2차전에서 퇴장 변수가 작용하며 2-5 패배(합계 4-5)로 탈락했다. J리그컵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세레소 오사카에 0-2로 패하며 준우승. 이 대회 결승에서 4경기 연속 무득점 기록을 세우며 최다 연속 결승 패배(4회) 기록을 남겼다.

2018 시즌

가와사키 프론탈레는 오니키 체제 2년 차를 맞이하며 일부 선수들이 이적 및 계약 종료로 팀을 떠났다. 대신, 오쿠보 요시토(FC 도쿄), 사이토 마나부(요코하마 F. 마리노스), 아카사키 슈헤이(가시마) 등 여러 선수를 영입하며 전력을 보강했다.

리그에서는 지난 시즌 20라운드부터 이어진 무패 행진을 19경기까지 기록하며 좋은 흐름을 유지했다. 11월 3일, 31라운드에서 가시와 레이솔을 3-0으로 꺾으며 3년 연속 ACL 출전권을 확보했다. 11월 10일, 32라운드에서 세레소 오사카에 패배했지만, 경쟁 팀인 히로시마도 패배하면서 최종전 전 우승이 확정되었다. 이로써 가와사키 프론탈레는 J리그 역사상 다섯 번째이자, 오리지널 10을 제외한 팀 중 최초로 J리그 2연패를 달성했다.
이 시즌 가와사키는 57득점, 27실점으로 리그 득점 및 최소 실점 1위를 기록했으며, J리그 역사상 가장 큰 승점 차(2위와 12점 차이)로 우승을 확정지었다.
후지 제록스 슈퍼컵에서는 세레소 오사카와 맞붙어 고바야시와 오쿠보의 득점에도 불구하고 2-3으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J리그컵에서는 8강에서 가시마 앤틀러스와 대결했지만 1무 1패로 탈락했다. 천황배 역시 8강에서 야마가타에 2-3으로 패배하며 도전을 마무리했다.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는 멜버른 빅토리, 상하이 상강, 울산 현대와 같은 조에 속했지만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19 시즌

오니키 체제 3년 차, 일부 선수들이 이적 및 계약 종료로 팀을 떠났지만 레안드루 다미앙(SC 인테르나시오나우), 마기뉴(빌라 노바 FC), 야마무라 가즈야(세레소 오사카) 등을 영입해 전력을 보강했다.

리그에서는 5라운드부터 20라운드까지 15경기 연속 무패를 기록하며 순항했지만, 시즌 내내 많은 무승부(12무)를 기록하며 승점 관리에 어려움을 겪었다. 홈에서의 승률이 저조해 최종 순위는 4위에 머물렀고, 천황배 우승팀이 ACL 진출권을 획득하지 못하면서 4년 연속 ACL 출전에도 실패했다.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는 시드니 FC, 상하이 상강, 울산 현대와 같은 조에 속했지만 조별리그 3위로 탈락했다. 후지 제록스 슈퍼컵에서는 천황배 우승팀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를 상대로 레안드루 다미앙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첫 우승을 차지했다. J리그컵에서는 결승에서 삿포로와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3-3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승리하며 대회 첫 우승을 달성했다. 천황배는 4라운드에서 고베에 패배하며 조기 탈락했다.
이 외에 7월 19일에 열린 J리그 월드 챌린지에서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첼시 FC와 맞붙어 레안드루 다미앙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2020 시즌

오니키 체제 4년 차, 여러 선수들의 이적과 영입이 이루어졌다. 아카사키 슈헤이(센다이), 아베 히로유키(나고야) 등이 완전 이적했고, 혼다 FC에서 도노 다이야를 완전 이적으로 획득해 후쿠오카로, 미야기 덴은 유스에서 승격해 도야마로 각각 기한부 이적했다. 반면, 미야시로 다이세이가 복귀했고, 미토마 가오루(쓰쿠바대), 하타테 레오(준텐도대) 등이 신입 선수로 합류하며 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리그 개막전에서는 사간 도스와 비기며 8년 연속 개막전 무승부 기록을 이어갔다. 하지만 이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시즌이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고, 가와사키는 폭발적인 경기력을 보이며 승리를 이어나갔다. 8월 15일 삿포로전에서는 미토마와 고바야시가 각각 두 골을 기록하며, J1 역사상 최초로 교체 출전한 두 선수가 멀티골을 기록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이어 9월 5일 세레소 오사카전에서 승리하며 10연승을 달성, J1 단일 시즌 최다 연승 기록을 새롭게 썼다. 팀의 기세는 멈추지 않았고, 10월 18일 히로시마전에서 J리그 역사상 최초로 한 시즌에 두 번의 10연승을 기록하는 팀이 되었다. 11월 3일에는 FC 도쿄를 꺾으며 12연승을 기록했고, 가나가와 더비(요코하마 F. 마리노스, 요코하마 FC, 쇼난 벨마레)에서도 6전 전승을 기록하며 지역 라이벌들을 상대로 완벽한 성적을 거두었다.

그리고 마침내 11월 25일, 감바 오사카를 상대로 5-0 대승을 거두며, 리그 종료까지 4경기를 남긴 상황에서 J1 사상 가장 빠른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 시즌 가와사키는 단순히 우승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수많은 신기록을 세웠다. 88골을 기록하며 J1 연장전 폐지 후 최다 득점 신기록을 작성했고, 시즌 단 3패만을 기록하며 J리그 역사상 최소 패배 우승 기록도 세웠다. 또한 26승을 거두며 2회전 풀리그 체제(2003년 이후 기준) 최다 승리 기록을 세웠으며, 2위와의 승점 차는 무려 18점으로 J리그 역사상 가장 큰 차이로 우승을 확정짓는 등 압도적인 시즌을 보냈다.

컵 대회에서도 강한 모습을 보였다. J리그컵에서는 4년 만에 조별리그부터 참가했으며, 8강전에서 비셀 고베를 6-0으로 대파하며 대회 역사상 원정팀 최다 점수 차 승리를 기록했다. 하지만 준결승에서 FC 도쿄에 패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천황배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준결승부터 참가하게 되었는데, J3 우승팀 아키타를 2-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감바 오사카를 1-0으로 제압하며 구단 역사상 첫 천황배 우승을 차지했고, J리그와의 2관왕을 달성했다. 특히, J2 출신 팀으로서는 최초로 국내 3대 타이틀(J리그, J리그컵, 천황배)를 모두 석권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이러한 팀 기록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기록도 빛났다. 오니키 감독은 J리그 역사상 최초로 4년 연속 국내 3대 타이틀을 획득한 일본인 감독이 되었으며, 2년 만에 우승 감독상을 수상했다. 또한 가와사키에서 9명의 선수가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는데, 이는 단일 클럽 역사상 최다 기록이었다. 여기에 더해 4명의 선수가 우수 선수상까지 받으며, 가와사키 프론탈레는 그야말로 2020 시즌 J리그를 지배한 팀으로 자리 잡았다.

2020 시즌이 끝난 후, 가와사키의 상징적인 존재였던 나카무라 겐고가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그는 2003년부터 팀을 이끌며 수많은 업적을 남겼으며,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채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선수 명단

현역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번호 포지션 국적 이름
1 GK 정성룡
2 DF 다카이 고타
4 DF 제시엘 카르도소 미란다
5 DF 사사키 아사히 (부주장)
6 MF 야마모토 유키
7 DF 구루마야 신타로
8 MF 타치바나다 켄토
9 FW 에리손 다닐로 데 소우자
10 MF 오시마 료타
11 FW 고바야시 유
13 DF 미우라 소타
14 MF 와키자카 야스토 (주장)
15 DF 다나베 슈토
16 MF 오제키 유토
17 FW 이토 타츠야
18 MF 세가와 유스케
19 MF 가와하라 소
번호 포지션 국적 이름
20 FW 야마다 신 (부주장)
21 GK 안도 슌스케
23 FW 마르시뉴
24 FW 미야기 덴
25 GK 나카가와 신
26 MF 야마우치 히나타
27 DF 가미하시 료타
28 MF 패트릭 베론
30 DF 노다 히로토
31 DF 사이 반 베르메스케르켄
33 GK 이근형
35 DF 마루야마 유이치 (부주장)
38 FW 칸다 소마
39 DF 츠치야 카이토
41 MF 이에나가 아키히로
44 DF 콜롬비아 세자르 하이다르
98 GK 야마구치 루이

역대

역대 감독

기재는 J리그 준회원 으로서 현재의 클럽명이 된 1997년 이후.

성명 재임 시즌 비고
일본 사이토 가즈오 1997년
브라질 조제 1997년
브라질 베투 1998년 - 1999년
일본 마쓰모토 이쿠오 1999년
브라질 제카 2000년
일본 이마이 도시아키 2000년
일본 고바야시 히로시 2000년
일본 호리이 요시하루 2001년
일본 이시자키 노부히로 2001년 7월 - 2003년
일본 세키즈카 다카시 2004년 - 2008년
2009년
일본 다카하타 쓰토무 2008년
2010년
일본 소마 나오키 2011년 - 2012년 4월
일본 가자마 야히로 2012년 4월 - 2016년
일본 오니키 도루 2017년 - 2024년
일본 하세베 시게토시 2025년 -

우승 기록

일본 국내 대회

개인・팀 표창

최우수 선수(MVP)
베스트 일레븐
득점왕
페어플레이 개인상
우승 감독상
J리그컵 최우수 선수(MVP)
J리그컵 뉴히어로상
공로 선수상
기타
  • J1 페어플레이 상 (8)
    • 2012,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 J30 베스트어워즈
    • 베스트 매치 수상

유니폼

팀 컬러

유니폼 스폰서

기재 장소 스폰서 표기 게시 연도 비고
가슴 후지쯔 FUJITSU 1997년 -
  • 2013년 - 2015년의 2nd는 'ARROWS' 표기
  • 2016년 - 2017년은 구 로고의 'arrows' 표기
  • (ACL에서는 1st, 2nd 모두 'FUJITSU' 표기)
쇄골 GA technologies RENOSY 2018년 9월 -
  • 좌측에 표기
Anker Japan ANKER 2021년 -
  • 우측에 표기
  • 2021년은 'Anker Innovations JAPAN' 표기
등 상단 SMBC 닛코 증권 SMBC日興証券 2005년 -
  • 2005년 - 2007년 중까지는 상품명의 'ピーカブー(피카부)' 표기
  • 2007년 중 - 2011년 3월은 '日興コーディアル証券(닛코 코디얼 증권)' 표기
등 하단 PwC 컨설팅 pwc 2023년 -
소매 에바라 식품 공업 エバラ 2023년 -
바지 앞면 마쓰오 공무점 MATSUO 2021년 4월 -
바지 뒷면 가와사키 신용금고 川崎信用金庫 100
KAWASHIN 100th Anniversary
2022년 -

유니폼 공급 업체

  • 1997년 - 1998년: PENALTY
  • 1999년 - 2010년: 아식스
  • 2011년 - 현재 : 푸마

각주

  1. 후지쯔. “川崎フロンターレ、「グレミオ」と姉妹クラブ関係を締結”. 2017년 3월 24일에 확인함. 
  2. 김성진 (2018년 11월 7일). “[특별기획] 일본 축구팬들에게 J리그 팀은 생활의 일부다”. 스포탈코리아. 2022년 4월 30일에 확인함. 
  3. 남태우 인물독자팀 팀장 (2008년 12월 24일). “[노트북 단상] 부산에 제2프로야구단 창단을”. 부산일보. 2022년 6월 16일에 확인함. 
  4. 김진성 (2011년 3월 25일). “[스포츠 인&아웃] 엔씨소프트 9구단 부산에 올 뻔했다?”. 부산일보. 2022년 6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