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사사우루스

모사사우루스
화석 범위:
백악기 후기
8,270만년~6,600만년 전
복원도
복원도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파충강
목: 뱀목
아목: 도마뱀아목
과: 모사사우루스과
속: 모사사우루스속 Mosasaurus
  • 모사사우루스 호프만니(M. hoffmannii) Mantell, 1829
  • 모사사우루스 미소우리엔시스(M. missouriensis) (Harlan, 1834)
  • 모사사우루스 코노돈(M. conodon) Cope, 1881
  • 모사사우루스 레몬니에리(M. lemonnieri) Dollo, 1889
  • 모사사우루스 베아우게이(M. beaugei) Arambourg, 1952

모사사우루스(Mosasaurus)중생대 백악기 후기 (8,270만 년~6,600만 년 전)[1][2][3][4] 네덜란드북아메리카 뿐만 아니라 유럽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에 살았던 육식 해양 파충류의 일종이다. 파충강-유린목-모사사우루스과에 속한다. 화석은 네덜란드와 북아메리카 (미국, 캐나다) 뿐만 아니라 유럽 (프랑스, 러시아)과 남아메리카 (브라질, 칠레), 아시아 (몽골, 일본, 인도,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아프리카 (이집트, 모로코)에서 발견되었다.

형태

모사사우루스의 몸길이는 보통 최대 10m 정도에 달하지만, 가장 큰 모식종의 경우 최대 몸길이가 무려 15m에 육박하며 몸무게는 3~6t에 달한다.[5] 지금까지 알려진 개체들보다 훨씬 거대한 모사사우루스의 길이가 약 14~20m에 달한다는 설도 있지만, 크기는 여러 가지 불확실성 때문에 약 15m 정도를 최대치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현 학계에서는 이전의 추정치들은 상당히 잘못되었고 과장된 추정치라고 주장한다.[6] 모사사우루스과에서는 최대급으로 분류되며, 당시 백악기 바다의 최상위 포식자였다.

묘사

모사사우루스는 파생된 모사사우루스의 일종으로, 완전한 수중 생활 방식과 같은 진화적 특성을 가진 후발 주자였다. 따라서 유선형의 몸과 두 개의 지느러미를 지탱하는 하강으로 끝나는 길쭉한 꼬리, 두 쌍의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었다. 과거에는 파생된 모사사우루스가 거대한 물갈퀴 바다뱀과 유사한 것으로 묘사되었지만, 이제는 수렴 진화를 통해 어룡, 탈라토수쿠스아목, 고대고래아목과 같은 다른 대형 해양 척추동물과 더 유사한 체격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7][8][9]

고생태학

분포, 생태계 및 생태적 영향

모사사우루스는 대서양 양쪽의 해양 퇴적물에서 화석이 발견되는 등 대서양 횡단 지역에 분포해 있었다. 이러한 지역에는 미국 중서부동해안, 캐나다, 유럽, 튀르키예, 러시아, 레반트, 모로코에서[10] 남아프리카 공화국까지 이어지는 아프리카 해안선, 브라질, 아르헨티나, 남극이 포함된다.[11][12][13] 백악기 후기에 이 지역들은 모사사우루스가 서식하는 대서양, 서부 내륙해로, 테티스해로 이루어진 세 개의 해로를 구성했다.[13] 열대, 아열대, 온대, 아극성 기후를 포함한 여러 해양 기후대가 해로를 포함하고 있었다.[13][14][15] 다양한 해양 기후대는 모사사우루스와 공존하는 다양한 동물군을 형성했다.

각주

  1. James G. Ogg; Linda A. Hinnov (2012). 《Cretaceous》. 《The Geologic Time Scale 2012》. 793–853쪽. doi:10.1016/B978-0-444-59425-9.00027-5. ISBN 978-0-444-59425-9. 
  2. William B. Gallagher (2005). “Recent mosasaur discoveries from New Jersey and Delaware, USA: stratigraphy, taphonomy and implications for mosasaur extinction”. 《Netherlands Journal of Geosciences》 84 (3): 241–245. doi:10.1017/S0016774600021028. 
  3. William B. Gallagher (1984). “Paleoecology of the Delaware Valley region, Part II: Cretaceous to Quaternary”. 《The Mosasaur》 2 (1): 9–43. 
  4. Christian C. Obasi; Dennis O. Terry Jr.; George H. Myer; David E. Grandstaff (2011). “Glauconite Composition and Morphology, Shocked Quartz, and the Origin of the Cretaceous(?) Main Fossiliferous Layer (MFL) in Southern New Jersey, U.S.A.”.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81 (1): 479–494. Bibcode:2011JSedR..81..479O. doi:10.2110/jsr.2011.42. 
  5. Paul, Gregory S. (2022).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Mesozoic Sea Reptiles》 (PDF).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6쪽. ISBN 9780691193809. 
  6. Terri J. Cleary; Roger B. J. Benson; Susan E. Evans; Paul M. Barrett (2018). “Lepidosaurian diversity in the Mesozoic–Palaeogene: the potential roles of sampling biases and environmental drivers”. 《Royal Society Open Science》 5: 171830. doi:10.1098/rsos.171830. 
  7. Johan Lindgren; Michael W. Caldwell; Takuya Konishi; Luis M. Chiappe (2010). “Convergent Evolution in Aquatic Tetrapods: Insights from an Exceptional Fossil Mosasaur”. 《PLOS ONE》 5 (8): e11998. Bibcode:2010PLoSO...511998L. doi:10.1371/journal.pone.0011998. PMC 2918493. PMID 20711249. 
  8. Michael W. Caldwell (2012). “A challenge to categories: "What, if anything, is a mosasaur?"”. 《Bulletin de la Société Géologique de France》 183 (1): 17–34. doi:10.2113/gssgfbull.183.1.7. 
  9. Johan Lindgren; Michael J. Polcyn; Bruce A. Young (2011). “Landlubbers to leviathans: evolution of swimming in mosasaurine mosasaurs”. 《Paleobiology》 37 (3): 445–469. Bibcode:2011Pbio...37..445L. doi:10.1666/09023.1. JSTOR 23014733. S2CID 85165085. 
  10. Rempert, Trevor; Vinkeles Melchers, Alexander P.M.; Rempert, Ashley N.; Haque, Muhammad R.; Armstrong, Andrew. “Occurrence of Mosasaurus hoffmannii Mantell, 1829 (Squamata, Mosasauridae) in the Maastrichtian Phosphates of Morocco”. 《Journal of Paleontological Sciences》. 
  11. Hallie P. Street; Michael W. Caldwell (2017). “Rediagnosis and redescription of Mosasaurus hoffmannii (Squamata: Mosasauridae) and an assessment of species assigned to the genus Mosasaurus. 《Geological Magazine》 154 (3): 521–557. Bibcode:2017GeoM..154..521S. doi:10.1017/S0016756816000236. S2CID 88324947. 
  12. James E. Martin (2006). “Biostratigraphy of the Mosasauridae (Reptilia) from the Cretaceous of Antarctica”.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258 (1): 101–108. Bibcode:2006GSLSP.258..101M. doi:10.1144/gsl.sp.2006.258.01.07. S2CID 128604544. 
  13. Nathalie Bardet (2012). “Maastrichtian marine reptiles of the Mediterranean Tethys: a palaeobiogeographical approach”. 《Bulletin de la Société Géologique de France》 183 (6): 573–596. doi:10.2113/gssgfbull.183.6.573. 
  14. Elizabeth L. Nicholls and Anthony P. Russell (1990). “Paleobiogeography of the Cretaceous Western Interior Seaway of North America: the vertebrate evidence”.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79 (1–2): 149–169. Bibcode:1990PPP....79..149N. doi:10.1016/0031-0182(90)90110-S. 
  15. David B. Kemp; Stuart A. Robinson; J. Alistair Crame; Jane E. Francis; Jon Ineson; Rowan J. Whittle; Vanessa Bowman; Charlotte O'Brien (2014). “A cool temperate climate on the Antarctic Peninsula through the latest Cretaceous to early Paleogene”. 《Geology》 42 (7): 583–586. Bibcode:2014Geo....42..583K. doi:10.1130/g35512.1. hdl:2164/438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