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조선로동당
북조선로동당
北朝鮮勞動黨 | |||
| |||
상징색 | 빨강 | ||
---|---|---|---|
이념 |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
스펙트럼 | 극좌 | ||
당원(1946년) | 366,000명 | ||
당직자
| |||
위원장 | 김두봉 | ||
부위원장 | 김책 김용범 박헌영 김일성 허가이 주영하 | ||
역사
| |||
창당 | 1946년 8월 28일 | ||
해산 | 1949년 6월 30일 | ||
선행조직 | 조선공산당 북조선공산당 남조선로동당 조선신민당 | ||
후계정당 | 조선로동당 | ||
내부 조직
| |||
중앙당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
기관지 | 로동신문 근로자 | ||
청년조직 | 북조선민주청년동맹 | ||
선거연합 | 조국통일민주전선 | ||
|


북조선로동당(北朝鮮勞動黨, 영어: Workers' Party of North Korea, WPNK)은 1946년 8월 28일에 결성되어 1949년 6월 24일에 조선로동당으로 개편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산당이다.
하위 조직
1946년 8월 창당된 북조선로동당은 여러 하위 조직을 포괄했는데, 북조선민주청년연맹, 북조선직업총동맹, 북조선민주여성연합, 북조선소작농연방협회 등의 조직을 포괄하였다.
기관지
북조선로동당은 로동신문과 근로자를 기관지로 발행하였다. 로동신문은 근로자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과 소련 공산당의 기관지인 프라우다의 영향을 받아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의 집권당의 기관지로써 여러 가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마르크스-레닌주의 |
---|
![]() |
역사 •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28년 10월) • 코민테른 12월 테제 (1928년 12월) • 소비에트 연방의 농업집산화 정책 (1929년) • 홀로도모르 (1932년) •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33년 1월) • 국가의회 의사당 화재 사건 (1933년 2월) • 반파쇼인민전선 (1935년 8월) • 스타하노프 운동 (1935년 11월) • 스페인 내전 (1936년) • 대숙청 (1937년) •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38년) • 독소전쟁 (1941년) • 후크발라합 반란 (1942년) • 즈다놉시나 (1946년) • 그리스 내전 (1946년)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6년) • 냉전 (1947년) • 베를린 위기 (1948년) • 한국 전쟁 (1950년) • 반둥 회의 (1955년) • 베트남 전쟁 (1955년) • 스탈린 격하 운동 (1956년 2월) • 1956년 헝가리 혁명 (1956년 10월) • 쿠바 혁명 (1959년) • 중소 분쟁 (1960년) •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1961년) • 비동맹운동 (1961년) • 수정주의 논쟁 (1961년) • 쿠바 미사일 위기 (1962년) • 문화대혁명 (1966년) • 프라하의 봄 (1968년 1월) • 브레즈네프 독트린 (1968년 9월) • 앙골라 내전 (1975년) • 중화인민공화국의 개혁개방 (1978년)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1979년) • 페레스트로이카 (1985년) • 글라스노스트 (1986년 2월) • 체르노빌 원전 사고 (1986년 4월) • 베트남의 도이 머이 실시 (1986년 12월) • 1989년 톈안먼 사건 (1989년 6월) • 동유럽 혁명 (1989년 6월) • 몰타 회담 (1989년 12월) • 독일의 재통일 (1990년) • 8월 쿠데타 (1991년 8월) •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1991년 12월) • 쿠바의 비상 시기 선포 (1992년) • 1993년 러시아 헌정위기 (1993년) • 고난의 행군 (1995년) |
상징 및 표어 |
관련 문헌 • 스탈린, 《마르크스주의와 민족 문제》 (1913년) • 데보린, 《변증법적 유물론 강론》 (1916년) • 데보린, 《인격성과 세계관》 (1923년) • 스탈린, 《레닌주의의 기초와 레닌주의의 제문제》 (1924년) • 스탈린, 《트로츠키주의인가? 레닌주의인가?》 (1924년) • 스탈린, 《우리 당의 사회민주주의적 편향》 (1926년) • 스탈린, 《중국 혁명과 코민테른의 작업들》 (1927년) • 스탈린, 《곡물 조달과 농업 발전 전망》 (1928년) • 스탈린, 《제1차 5개년 경제 계획의 결과들》 (1933년) • 스탈린, 《변증법적 유물론》 (1938년) • 전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볼셰비키당사》 (1938년) • 페도시프, 《종교와 그 극복으로서 마르크스-레닌주의》 (1941년) • 페도시프,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공산당 선언과 역사에 대한 유물론적 이해》 (1948년) • 콘스탄티노프, 《과학으로서 역사적 유물론》 (1949년) • 스탈린, 《마르크스주의 언어학》 (1950년) • 콘스탄티노프, 《사회적 의식의 형태》 (1951년) • 스테파니얀, 《사회주의에서 공산주의로의 점진적인 전환》 (1951년) • 스탈린, 《소련 사회주의의 경제 문제들》 (1951년) • 콘스탄티노프, 《사회 발전에서 고등 관념의 역할》 (1953년) • 페도시프, 《사회주의 사회의 생산력과 생산 관계》 (1955년) • 페도시프, 《사회주의와 인본주의》 (1956년) • 페도시프, 《역사에서 군중과 인민의 역할》 (1956년) • 콘스탄티노프,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기초》 (1958년) • 쿠시넨,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기초》 (1960년) • 보응우옌잡, 《인민의 전쟁, 인민의 군대》 (1961년) • 차긴, 《G. V. 플레하노프와 마르크스주의 철학 발전에서 그의 역할》 (1963년) • 체 게바라, 《게릴라 전쟁》 (1963년) • 스테파니얀, 《현대 사회 발전의 변증법》 (1966년) • 스테파니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와 현대성》 (1970년) • 페도시프, 《공산주의와 철학》 (1971년) • 페도시프, 《현대 시대의 변증법》 (1976년) • 호자, 《제국주의와 혁명》 (1978년) • 콘스탄티노프, 《현대 세계의 관념 투쟁》 (1978년) • 페도시프, 《세계관, 철학, 과학》 (1979년) • 미틴, 《철학과 사회 진보》 (1979년) • 콘스탄티노프, 《마르크스-레닌주의 철학과 현대성》 (1982년) • 스테파니얀, 《공산주의 형성에 대한 이론 및 방법론적 문제》 (1985년) • 로디오노프, 《민주주의적 중앙집권제란 무엇인가?》 (1988년) |
관련 조직
|
주요 이론가 ![]() ![]() ![]() 마오쩌둥 (1893년 ~ 1976년) ![]() ![]() ![]() ![]() ![]() ![]() ![]() ![]() ![]() ![]() ![]() |
주요 정치인 ![]() ![]() ![]() ![]() ![]() ![]() ![]() ![]() ![]() ![]() ![]() ![]() ![]() ![]() 레주언 (1907년 ~ 1986년) ![]() ![]() 보응우옌잡 (1911년 ~ 2013년) ![]() ![]() ![]() ![]() ![]() ![]() 마셸 (1933년 ~ 1986년) 멩기스투 (1937년 ~ ) ![]() ![]() ![]() ![]() |
공산주의 |
---|
![]() |
역사 • 독일 농민전쟁 (1524년) • 산업 혁명 (18세기 중반) • 프랑스 혁명 (1789년) • 의인동맹 창설 (1836년) • 공산주의자동맹 창설 (1847년) • 제1인터내셔널 성립 (1864년) • 파리 코뮌 (1871년) • 메이데이 총파업 (1886년) • 제2인터내셔널 성립 (1889년) • 10월 혁명 (1917년) • 러시아 내전 (1917년) • 스파르타쿠스 봉기 (1919년 2월) • 코민테른 성립 (1919년 3월) • 소비에트 연방 성립 (1922년) • 제1차 국공 내전 (1927년) •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28년) • 스페인 내전 (1936년) • 대숙청 (1937년 7월) • 제2차 국공 합작 (1937년 9월) • 그리스 내전 (1946년 3월 30일) • 제2차 국공 내전 (1946년 3월 31일) • 냉전 (1947년) • 한국 전쟁 (1950년) • 베트남 전쟁 (1955년) • 1956년 헝가리 혁명 (1956년) • 대약진 운동 (1958년) • 쿠바 혁명 (1959년) • 문화대혁명 (1966년) • 니카라과 혁명 (1978년) • 페레스트로이카 (1985년) • 동유럽 혁명 (1989년 6월) • 소련의 붕괴 (1991년) |
관련 문헌 • 플라톤, 《국가》 (BC.4세기?) • 플라톤, 《법률》 (BC.4세기?) • 캄파넬라, 《태양의 나라》 (1602년) • 캄파넬라, 《형이상학》 (1623년) • 미상, 《바뵈프 선언에 대한 분석》 (1796년) • 바이틀링, 《인류의 현실과 이상》 (1839년) • 바이틀링, 《조화와 자유의 보증》 (1842년) • 바이틀링, 《가난한 죄인의 복음》 (1843년) • 마르크스,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 (1843년) • 마르크스, 《1844년 경제학 철학 초고》 (1844년) • 엥겔스, 《잉글랜드 노동계급의 상황》 (1845년) • 마르크스, 《독일 이데올로기》 (1846년) • 마르크스, 《공산주의의 원리》 (1847년) • 마르크스, 《임노동과 자본》 (1847년) • 마르크스, 《공산당 선언》 (1848년) • 마르크스,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1858년) • 마르크스, 《자본 I》 (1867년) • 마르크스, 《고타 강령 비판》 (1875년) • 엥겔스, 《반듀링론》 (1878년) • 엥겔스, 《자연변증법》 (1883년) • 엥겔스,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1884년) • 마르크스, 《자본 II》 (1885년) • 마르크스, 《자본 III》 (1894년) • 레닌, 《인민의 벗이란 무엇인가?》 (1893년) • 레닌, 《러시아에 있어서 자본주의의 발전》 (1899년) • 룩셈부르크, 《사회 개혁이냐 혁명이냐?》 (1900년) • 레닌, 《무엇을 할 것인가?》 (1902년) • 판네쿡, 《마르크스주의와 다윈주의》 (1909년) • 레닌,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1909년) • 레닌, 《철학 노트》 (1909년) • 판네쿡, 《계급 투쟁과 국가》 (1912년) • 스탈린, 《마르크스주의와 민족 문제》 (1913년) • 룩셈부르크, 《자본축적론》 (1913년) • 레닌, 《제국주의론》 (1916년) • 레닌, 《국가와 혁명》 (1917년) • 루카치, 《정통마르크스주의란 무엇인가?》 (1919년) • 판네쿡, 《세계 혁명과 공산주의 전술》 (1920년) • 루카치, 《역사와 계급의식》 (1923년) • 스탈린, 《레닌주의의 기초와 레닌주의의 제문제》 (1924년) • 마오쩌둥, 《실천론》 (1937년 7월) • 마오쩌둥, 《모순론》 (1937년 8월) • 스탈린, 《변증법적 유물론》 (1938년) • 판네쿡, 《철학자로서의 레닌》 (1938년) • 판네쿡, 《노동자평의회》 (1947년) • 루카치, 《실존주의에 대해》 (1949년) • 루카치, 《이성의 파괴》 (1951년) |
관련 조직
|
주요 운동가 ![]() ![]() ![]() ![]() ![]() ![]() ![]() ![]() ![]() 마줌다르 (1919년 ~ 1972년) ![]() ![]() ![]() 구즈만 (1934년 ~ ) ![]() ![]() ![]() |
주요 이론가 ![]() ![]() ![]() ![]() ![]() ![]() ![]() ![]() ![]() ![]() ![]() ![]() ![]() 마오쩌둥 (1893년 ~ 1976년) ![]() ![]() ![]() ![]() ![]() ![]() |
주요 정치인 ![]() ![]() ![]() ![]() ![]() ![]() ![]() ![]() ![]() ![]() ![]() ![]() 보응우옌잡 (1911년 ~ 2013년) ![]() ![]() ![]() ![]() 상카라 (1949년 ~ 1987년) ![]() ![]() |
같이 보기
일제강점기 (1919-1945) | |
---|---|
해방정국 (1945-1948) | |
분단시대 (1948-현재) 국보법에 따라 이적단체로 지정된 단체들 | 민족통일전국학생연맹 · 인민혁명당 · 통일혁명당 · 남조선해방전략당 ·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 · 민주구국학생연맹 · 전국학생총연합 (민족통일민주쟁취민중해방투쟁위원회) · 반제동맹당 · 전국노동자연맹추진위원회 · 민족해방노동자당 · 안산민족해방노동자당 ·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부산경남 · 대구경북 · 강원) →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 노동자해방사상연구회 · 반미청년회 · 인천지역민주노동자연맹 ·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 · 기독교문화노동운동연합 · 혁명적노동자계급투쟁동맹 · 자주민주통일그룹 · 코리아연대 · 반제반파쇼민중민주주의혁명그룹 · 조국통일촉진그룹 · 반제청년동맹 · 관악자주파 · 노동자계급해방투쟁위원회 · 노동자정치활동센터 · 한국사회주의노동당 (창준위) · 구국전위 · 혁명적국제사회주의노동자투쟁동맹 · 남한프롤레타리아계급투쟁동맹 · 조국통일범민족청년학생연합 · 조국통일범민족연합 · 자주대오 · 관악노동청년회 · 민주민족혁명당 · 백두청년회 · 서울민주노동자회 · 한국청년단체협의회 · 민중정치연합 · 진보와 연대를 위한 보건의료연합 · 새세대청년공산주의자붉은기 ·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 사회주의노동자연합 · 통합진보당 · 통일대중당 · 새시대교육운동 |
금지된 기타 단체 · 독립운동 · 한국의 좌익 독립운동 단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