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하이드록시안트라닐산
![]() | |
![]() | |
이름 | |
---|---|
IUPAC 이름
2-Amino-3-hydroxybenzoic acid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DrugBank | |
ECHA InfoCard | 100.008.148 |
KEGG | |
MeSH | 3-Hydroxyanthranilic+Acid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7H7NO3 | |
몰 질량 | 153.137 g·mol−1 |
겉보기 | powder |
밀도 | ≈ 1 g/cm3 |
녹는점 | 240–265 °C (464–509 °F; 513–538 K)[3] decomposes 227 °C (441 °F; 500 K)[2] from dilute HCl, decomposes |
low[1] | |
용해도 | soluble in ether, CHCl3, alcohols[1] |
hydrochloric acid에서의 용해도 | 1 N:[1] 1 g/100 ml |
산성도 (pKa) | at 20 °C:[2] 1 = 2.7, 2 = 5.19, 3 = 10.12 |
UV-vis (λmax) | 298 nm[2]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3-하이드록시안트라닐산(영어: 3-hydroxyanthranilic acid)은 트립토판의 대사 과정에서의 대사 중간생성물이다. 3-하이드록시안트라닐산은 템페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새로운 항산화제이다. 3-하이드록시안트라닐산은 대두유 및 대두 분말의 자동산화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지만, 항산화제인 6,7,4'-트라이하이드록시아이소플라폰은 그렇지 않다.[4]
화학적 특성
3-하이드록시안트라닐산은 240~265 °C에서 분해되며,[5][6] 물에는 잘 녹지 않고, 에터, 클로로포름, 알코올에 잘 녹는다.[7]
각주
- ↑ 가 나 다 “3-Hydroxyanthranilic acid”.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2015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Armarego, Wilfred L.F.; Chai, Christina L.L. (2009). 《Purification of Laboratory Chemicals》 6판. Elsevier Inc. 297쪽. ISBN 978-1-85617-567-8.
- ↑ Moline, Sheldon W.; Walker, H.C.; Schweigert, B.S. (1958). “3-Hydroxyanthranilic Acid Metabolism: VII. Mechanism of Formation of Quinolinic Acid”.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34 (4): 880–883. PMID 13654282. 2015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Esaki, Hideo; Onozaki, Hiromichi; Kawakishi, Shunro; Osawa, Toshihiko (1996). “New Antioxidant Isolated from Tempeh”.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4 (3): 696. doi:10.1021/jf950454t.
- ↑ Moline, Sheldon W.; Walker, H.C.; Schweigert, B.S. (1958). “3-Hydroxyanthranilic Acid Metabolism: VII. Mechanism of Formation of Quinolinic Acid”.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34 (4): 880–883. PMID 13654282. 2015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Armarego, Wilfred L.F.; Chai, Christina L.L. (2009). 《Purification of Laboratory Chemicals》 6판. Elsevier Inc. 297쪽. ISBN 978-1-85617-567-8.
- ↑ “3-Hydroxyanthranilic acid”.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2015년 9월 2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 HAA concentration graph in lyophilized tempeh powder extract (in Indonesian)